친구 없이 외로운 우리 아이…“훗날 치매 위험 41%↑”

페이지 정보

작성자 free 작성일25-11-05 19:02 조회2회 댓글0건

본문

친구 없이 외로운 우리 아이…“훗날 치매 위험 41%↑”


bNcCORv.jpeg
https://krzom.org


어린 시절 외로움을 경험한 사람은 노년층이 됐을 때 인지 기능 저하로 인한 치매 발병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중국 수도의과대학 궈슈화 박사 연구팀은 노년층 1만 3000여명을 대상으로 어릴 적 겪은 외로움과 노년기 인지 기능 저하 및 치매 발병 간 연관성을 따져봤더니 이같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중국 건강 및 은퇴 종단 연구’(CHARLS) 데이터에서 참가자 1만 3592명을 선별해 17세 이전에 경험한 외로움에 관한 조사를 벌였다. 17세 이전 ‘자주 외로웠는가?’, ‘친한 친구가 없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을 기반으로 참가자들을 ▲외로움 없음 ▲외로움 가능성 있음 ▲외로움 있음 등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한 뒤, 이들을 약 7년간 추적 관찰하는 식이다.

조사 결과, 아동·청소년기에 외로움을 겪었던 참가자는 외로움이 없던 참가자보다 인지 기능 저하로 인한 치매 발병 위험이 더 컸다. 17세 이전 외로움을 경험한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중·노년기 치매 발병 위험이 약 41% 더 높았다. 인지 기능 저하도 눈에 띄게 빨라졌다. 아동·청소년기 외로움 경험 그룹의 인지 기능 저하 속도는 그렇지 않은 이들보다 0.02~0.03σ(표준편차·시그마)만큼 더 높았다.


연구진이 외로움 경험 극복 여부에 따른 인지 기능 변화도 따져봤더니, 어릴 때는 외로움을 겪었으나 성인기 들어 이를 극복한 참가자들은 인지 기능이 더 빨리 나빠진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의 인지 기능은 연간 0.04σ씩 저하됐다. 성인이 되어서도 외로움을 경험한 이들(연간 0.03σ 저하)보다 두드러진 속도다.

반면 치매 위험은 그룹별 변화 양상이 조금씩 달랐다. 치매 위험은 아동·청소년기와 성인기 모두 외로움을 겪은 사람에게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아동·청소년기에만 외로움을 경험한 이들은 생애 전반에 걸쳐 외로움이 없던 이들보다 71%가량 치매 위험이 더 컸는데, 아동·청소년기와 성인기 모두 외로움을 경험했다면 이 수치는 105%까지 늘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 대해 “어린 시절 외로움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는 노력이 시급하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청소년의 사회적 접촉 기회 확대, 적절한 교육·지역사회 지원 환경 조성 등이 효과적 전략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의학협회저널(JAMA) 네트워크 오픈에 게재됐다.







“당뇨병이라면서요” 알고보니 침묵의 췌장암…‘이 증상’ 있었다
“잠들기 2시간 전, 한 입만 더” 그러다 ‘골절’로 병원 간다…日 연구진 경고, 왜
감자, ‘이렇게’ 먹으면 치매 예방…뇌 노화 막는 비결
전국 영화관이 ‘단돈 1000원’…“선착순 기회 놓치지 마세요”
“젊은 사람들의 흔한 ‘이 습관’, 우울증 위험 높인다”, 뭐길래






6m3ipax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