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안 먹으면 머리 나빠진다고? 틀렸다…단 ‘이 사진’ 보면 예외
페이지 정보
작성자 free 작성일25-11-06 11:30 조회1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s://linkn.org
0회 연결
-
https://linkn.org
0회 연결
본문
‘아침 식사는 인지 건강에 필수’라는 수십 년 통념이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3400명 이상을 분석한 연구에서 건강한 성인은 아침을 거르더라도 인지 능력에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매체 스터디파인즈는 3일 미국 심리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사이콜로지컬 불레틴’에 실린 파리 로드론대와 뉴질랜드 오클랜드대 공동 연구진의 논문을 소개했다.
연구진은 63개 연구에서 3400명 이상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8시간, 12시간, 심지어 16시간 동안 단식해도 기억력, 주의력, 의사 결정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식사를 한 사람과 하지 않은 사람 사이의 평균 차이는 거의 없었다.
단식이 24시간을 넘기면 성적이 서서히 떨어지기 시작했다. 일상적으로 그 정도로 오래 굶는 경우는 드물다.
음식 떠올릴 때만 방해…믿음이 성과 바꿔다만 젊은 참가자들은 나이 든 참가자들에 비해 성적 하락 폭이 더 컸다. 시간도 영향을 미쳤다. 늦은 시간에 테스트를 받은 사람들이 아침에 받은 사람들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다.
단식이 실제로 악영향을 준 경우는 음식 사진을 보여줬을 때뿐이었다.
공복 시 햄버거와 피자 이미지에 노출되면 반응 속도와 집중력이 저하됐다.
그러나 음식과 관련 없는 과제에서는 식사를 한 사람들과 동등한 성과를 냈다. 배고픔은 음식에 대한 생각이 촉발될 때만 방해 요인이 되고, 일반적인 사고 과정에는 문제가 없다는 의미다.
되레 단식에 대한 믿음 자체가 성과를 바꿨다. 한 실험에서 단식이 집중력을 높인다고 믿는 사람들은 단식하면 둔해진다고 우려한 사람들보다 실제로 더 나은 성과를 냈다. 모두 똑같이 배고픈 상태였다. 유일한 차이는 마음가짐뿐이었다.
포도당 떨어지면 케톤 사용...뇌는 계속 작동원리는 단순하다. 뇌는 대부분 포도당으로 작동한다. 포도당은 우리 몸이 음식에서 얻는 단순당이다. 몇 시간 먹지 않으면 이 당 저장량이 줄어들기 시작한다. 하지만 기능이 멈추는 대신, 우리 몸은 예비 연료인 케톤으로 전환한다. 케톤은 저장된 지방에서 만들어진다.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휘발유에서 전기로 바뀌는 것과 비슷하다. 뇌는 계속 작동하되, 다른 에너지원을 쓸 뿐이다.
어린이는 예외...“안정적 에너지 공급 필수”다만 이는 성인에 한정된 결과이며, 어린이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성장기 어린이의 뇌는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필요로 한다. 실제로 영양 결핍 상태의 어린이는 아침 식사 후 학습 능력과 집중력이 뚜렷하게 높아진다.
반면 성인의 뇌는 완전히 발달해 에너지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한다.
94세에도 숫자 줄줄…‘투자천재’ 버핏의 뇌를 지킨 습관
“과체중에 의자 폭삭”…굴욕 당한 男, ‘이것’ 끊고 50㎏ 감량
이혼녀, 재혼 망설이는 이유 1위 ‘수발들게 할까 봐’…이혼남 답변 들어보니
[오늘의 운세] 2025년 3월 30일
더울 때 ‘아아’ 한잔 필수인데…“‘이것’ 일부에서 세균 초과 검출”
올해 관람객만 400만명인 ‘이곳’, 케데헌 흥행에 발걸음 몰렸다…주차도 못할 지경
“달리기 후 단순 근육통인줄 알았는데”…‘24시간 내 사망’ 진단받은 30대 英 여성
20대에 비만인 당신, ‘조기 사망’ 확률 두 배↑
‘지옥서 데려온 5억 신인’ 정현우…‘3G ERA 0.82’ 쇼케이스 빛났다
6m39mu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