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지노릴게임 ㈌ 44.rhd445.top ㈌ 체리마스터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간재아상 작성일25-08-14 03:44 조회4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11.rzc476.top 0회 연결
-
http://19.rhq451.top 0회 연결
본문
【88.rhd445.top】
혹시 여행으로만 유럽을 경험하셨나요. 매월 연재하는 '숨은유럽찾기'에선 평온한 관광지에선 볼 수 없는 유럽 각국의 숨은 이야기를 찾아 드립니다. 드러난 뉴스의 이면도 들여다봅니다. 때론 불편한 진실이 우리에게 피와 근육이 됩니다.
지난달 22일 영국 런던 이케아 매장에서 직원이 식칼이 배치된 진열장 문을 잠그고 있다. 이곳에선 신분증을 소지한 21세 이상만 식칼을 구입할 수 있다. 런던= 정승임 특파원
“우리는 식칼을 안 팔아요. 대신 건너편 세인즈버리(Sainsbury's)에 가보실래요?”
지난달 2 강남실매물 2일 영국 런던 중심가 빅토리아역 인근 테스코(TESCO) 매장. 한국 이마트에 해당하는 영국 최대 대형마트 체인인 이곳 직원에게 식칼이 어디 있느냐고 물었더니 돌아온 답이다. 마트에서 산 과일을 자를 과도(果刀)가 필요했다. 한국에선 어렵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영국 도심 한복판에서 식칼을 사는 일은 ‘하늘의 별 따기’에 가까웠다. 앞서 들른 식료품점 리 농협생활비대출 들(LIDL)과 막스앤스펜서(M&S)에서 줄줄이 “식칼을 취급하지 않는다”는 말을 들어서다. 그렇게 마트를 돌아다니길 2시간째. 그래도 이번엔 어디에서 구할 수 있는지 ‘대안’을 제시해줬다.
그가 알려준 세인즈버리는 테스코에 이어 영국에서 두 번째로 큰 마트 체인이다. 그러나 이번에도 허탕인 듯했다. 매장을 샅샅이 뒤져 발견한 건 양식을 농협 정기예금 먹을 때 포크와 함께 쓰는 나이프뿐. 도마는 있었지만 정작 식칼은 보이지 않았다. 매장 직원인 나오미는 “아르고스(Argos)를 시도해 보라”고 권했다.
세인즈버리 계열사로 소매 유통체인점인 아르고스는 매장 한편에 설치된 모니터에서 고객이 상품을 보고 주문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대형 가전제품처럼 공간 문제로 매장에 전시할 수 없 개인급전 는 상품 등이 대상이다. 식칼도 그런 제품으로 분류된다. 온라인 주문과 유사하게 모니터에서 제품을 고르고 결제한 뒤 직원에게 영수증을 보여주면 수령하는 방식인데 식칼만은 예외다. 결제 전 직원에게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을 보여준 뒤 ‘사전허가’를 받아야 주문 자격이 생긴다. 나오미는 그 이유에 대해 “식칼은 매우 위험(dangerous)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거치기간 상환기간 .
그가 안내해준 대로 모니터에 ‘칼’(Knife)을 검색했더니 64개 제품이 나왔다. 그러나 당장 살 수 있는 건 없었다. 매장에서 바로 수령 가능한 제품 대부분은 식칼 4, 5개로 구성된 세트였기 때문이다. 낱개 상품은 집 배송만 가능했다.
대부분 마트에선 식칼 취급 안 해
지난달 22일 영국 런던의 한 마트에 설치된 주문형 모니터. 영국 마트에선 식칼을 아예 팔지 않거나 진열이 제한돼 있어 식칼을 구입하려면 온라인 모니터를 이용해야 한다. 신분증 지참은 필수다. 런던=정승임 특파원
주방용품 전문점은 어떨까. 런던 유명 쇼핑가 옥스퍼드 거리에 위치한 이케아(IKEA) 매장에서 마침내 식칼을 찾았다. 다만 바로 살 수 있는 건 아니었다. 식칼이 전시된 유리 진열장이 굳게 잠겨 있어서다. 그 앞에는 ‘21세 미만은 구매 불가’라는 안내문이 붙어 있었다.
직원이 문을 열어준 후에도 문제는 남았다. 여권을 챙겨오지 않은 게 화근이었다. 21세가 넘었다는 걸 증명해줄 수단은 여권뿐. 맥주 등 주류는 신분증이 없어도 외모로 미성년자가 아니라는 게 가늠이 되면 구매할 수 있지만 식칼은 예외를 허용하지 않았다. “내가 미성년자로 보이느냐”는 기자의 거듭된 질문에도 매장 직원은 “미안하다”는 말만 반복했다.
영국 런던 이케아 매장 식칼 진열대가 굳게 잠겨 있다(왼쪽 사진). 오른쪽 사진은 신분증을 소지한 21세 이상만 식칼을 구매할 수 있다는 문구. 런던= 정승임 특파원
총기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영국에서 식칼 판매가 엄격히 제한된 건 2019년 '공격성 무기법(Offensive Weapons Act 2019)'이 제정되면서다. 1988년 형사법 제도를 대폭 정비한 '형사사법 개정법(Criminal Justice Act 1988)'이 시행되면서 △18세 미만에 칼 판매 금지 △공공장소 칼 소지 금지가 일찍 시행됐지만 2016년부터 칼부림 범죄가 급증해 추가 조치가 시급했던 것이다. 2013~2014년(2013년 4월~2014년 3월)만 해도 영국(스코틀랜드∙북아일랜드 제외)에서 2만6,501건에 불과했던 칼 관련 범죄(살인∙상해∙위협 등 포함)는 2016~2017년 3만7,610건으로 급증했고, 급기야 2019~2020년에 정점(5만1,982건)을 찍었다. 2012~2013년 기준 대비 무려 85%나 증가한 수치다.
특히 2019년 발생한 ‘조디 체즈니(Jodie Chesney) 사건’은 영국 정부가 칼 관련 범죄에 적극 개입하는 계기가 됐다. 17세 여고생 체즈니가 런던 외곽 공원에서 17세와 19세 갱단 조직원으로부터 칼에 찔려 숨진 사건에 국민적 분노가 들끓은 것이다. “칼 소지 및 판매 규제를 강화하자”는 요구가 빗발쳤고 정치권도 이에 부응했다.
당시 영국 사회의 기본 인식은 “칼을 쉽게 구할 수 있게 해선 안 된다”는 것이었다. 칼 관련 범죄가 증가한 데는 갱단 폭력과 불법 마약 유통 증가, 인종 문제 등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지만 이를 막기 위해선 원천봉쇄에 가까운 조치를 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다.
2019년 '조디 체즈니 사건' 이후 정부 적극 개입
2019년 칼부림 사건으로 사망한 조디 체즈니를 추모하는 벤치가 영국 런던 외곽 공립학교에 설치돼 있다. 런던= 정승임 특파원
이에 식칼을 비롯한 도검류의 온오프라인 규제가 강화됐는데 △판매자는 연령 확인 시스템을 필수 도입해야 하고 △온라인 배송 시에도 대면 수령이 의무화됐다. 2021년에는 대형마트를 대상으로 자율 규제를 시행했다. 상당수 유통업체는 실물 대신 모형 칼을 전시하는 방식을 택했는데 일부 업체는 아예 판매를 중단했다. 테스코가 식칼을 취급하지 않은 것도 이때부터다.
그러나 이 같은 조치는 같은 유럽 내에서도 낯설다. 프랑스, 독일만 해도 한국처럼 마트 내 식칼 구입이 자유롭기 때문이다. 특히 독일 2위 슈퍼마켓 레베(REWE)는 현재 포인트를 일정 수준 이상 적립하면 빌레로이앤보흐(Vivo) 브랜드 식칼을 단 1유로(약 1,600원)에 구매할 수 있는 판촉 행사를 진행 중이다. 이에 영국이 총기도 아닌 생필품 구매까지 제한하는 것을 두고 유난스럽다는 반응이 나올 법도 하다. 그만큼 칼 관련 범죄가 심각한 것일까.
독일 베를린 소재 한 마트에서 식칼을 1유로에 판매하는 판촉행사를 하고 있다. 마트 내 식칼 판매를 엄격히 규제하는 영국과 달리 독일은 식칼 판매가 자유롭다. 베를린= 정승임 특파원
현지 범죄학자들의 진단은 달랐다. 그레이엄 패럴 리즈대 법학부(범죄과학 전공) 교수는 한국일보에 “오히려 영국이 칼 범죄 예방 선도 국가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칼 범죄에 집중하는 국가들은 이미 총기 통제가 잘된 나라들”이라며 “미국에선 총기 살인이 워낙 심각해 칼 범죄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못 받는다”고 강조했다. 다시 말해 영국에선 총기 규제가 성공해 칼 관련 범죄도 챙길 여력이 있다는 것이다. 물론 정부 의지도 중요하게 작용했다. 실제 영국은 1996년 스코틀랜드 던블레인의 한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총기 난사로 17명이 숨진 이후 총기 소지를 전면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총기 규제가 가장 엄격한 국가로 꼽힌다.
도시 치안전문가인 벤 브래드포드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보안 및 범죄과학학과 교수도 “영국의 살인율은 10만 명당 약 1건(1.0)으로 매우 낮은 편(미국은 약 6.0)이라 일부 살인사건에 대한 집중도가 상대적으로 커진다”며 “칼 관련 범죄가 증가한 건 최근 10년간 경찰 기록 방식이 개선된 영향도 있다”고 밝혔다. 영국은 살인뿐 아니라 살인 미수, 심지어 칼로 위협한 사건까지도 모두 통계에 반영하는데 독일, 프랑스는 이렇게 정교하게 관리하지 않는다. 브래드포드 교수는 이어 “칼 범죄에 엄격 대응하는 건 총기 규제처럼 사회 전반적으로 강력 대응이 익숙하기 때문"이라며 정부 의지 문제라고 강조했다.
마트 진열된 '식칼' 포장 뜯고 범행한 김성진
서울 강북구 미아동 마트에서 흉기를 휘둘러 1명을 살해하고 1명을 다치게 한 김성진이 지난달 1일 서울 강북경찰서에서 검찰로 구속 송치되고 있다. 뉴스1
실제 최근 칼부림 범죄로 몸살을 앓는 곳은 오히려 프랑스와 독일이다. 프랑스 정부는 올 6월 14세 학생이 학교에서 교육 보조원을 칼로 찔러 사망케 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15세 이하 청소년 온오프라인 칼 판매 금지 △신분증 확인 의무화 조치를 긴급 명령을 통해 즉시 시행했다. 영국이 이미 6년 전부터 시행해온 것들이다. 독일 역시 같은 달 베를린에서 40대 남성이 슈퍼마켓에서 구입한 식칼로 행인을 찌르는 등 칼부림 범죄가 기승을 부리자 불심검문을 강화했다.
한국도 안전지대가 아니다. 올 4월 서울 미아역 인근 마트에서 김성진이 만취 상태로 흉기를 휘둘러 1명이 숨진 사건은 큰 충격을 안겼다. 그가 쓴 흉기는 마트에 진열된 식칼이었다. 올 2월 대전 초등생을 살해한 명재완 역시 사건 직전 마트에서 식칼을 구입했다.
"식칼 규제는 정부 의지 문제...철회 없을 것"
벤 브래드포드(왼쪽)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보안 및 범죄과학학과 교수와 그레이엄 패럴 리즈대 법학부(범죄과학 전공) 교수. 각 대학 홈페이지
관건은 ‘식칼 판매 제한’의 실효성이다. 범행을 마음먹었다면 집에 있는 흉기도 얼마든지 쓸 수 있는 만큼 한계도 뚜렷해 보인다. 다만 전문가들은 효과를 따지긴 이르다는 입장이다. 정책 시행 후 코로나19가 터지면서 아직 그 효과를 정확히 가려내기 어려워서다. 통계만 보면 2019~2020년 정점을 찍었던 칼 관련 범죄는 1년 뒤 1만 건 넘게 감소했지만 그 이후 매년 증가해 최근 5만511건까지 올랐다. 다만 패럴 교수는 “칼부림으로 인한 살인은 오히려 팬데믹 이전보다 감소했다”고 강조했다. 칼 범죄 통계는 단순 위협도 포함하기에 사건의 심각성 정도도 따져야 한다는 이야기다.
그래픽=이지원 기자
정책 효과 여부와 별개로 식칼 판매 규제가 풀릴 가능성은 없어 보였다. 브래드포드 교수는 “규제 완화 이후, 누군가 매장에서 구입한 칼로 살인을 저질렀다면 정부가 그 책임을 지게 되기 때문”이라며 “오히려 영국 대중은 불편함을 느끼기보다 규제를 더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최근에는 뾰족한 칼 끝을 둥글게 만들자는 제안까지 나왔다. 패럴 교수가 대표적이다. 그는 “식칼이 범죄에 가장 많이 쓰이는 만큼 뾰족한 식칼을 단계적으로 금지하고 가정 내 식칼 오용과 도난을 막기 위한 추가 조치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런던= 정승임 특파원 choni@hankookilbo.com
키지노릴게임 ㈌ 54.rhd445.top ㈌ 체리마스터
키지노릴게임 ㈌ 44.rhd445.top ㈌ 체리마스터
키지노릴게임 ㈌ 74.rhd445.top ㈌ 체리마스터
키지노릴게임 ㈌ 56.rhd445.top ㈌ 체리마스터
바로가기 go !! 바로가기 go !!
손오공 게임 다운 매장판황금성 황금성3하는곳 야마토5게임공략법 황금성제주도 야마토게임하기 황금성매장 야먀토5 황금포카성 황금성배당줄 오리자날 양귀비 인터넷손오공게임 바다이야기게임다운로드 pc 바다 이야기 다운 황금성 제주도 야마토게임공략방법 야마토게임방법 황금성제주도 황금성게임종류 pc용 황금성 게임 최신게임 바다이야기시즌5 슬롯머신 하는법 jQuery 슬롯 머신 알라딘게임랜드 슬롯머신 이기는 방법 야마토다운로드 릴야마토 메타슬롯 바다신2영상 슬롯머신무료 팡멀티릴게임 온라인릴게임사이트 온라인식보 체리마스터 다운로드 손오공릴게임 인터넷 바다이야기 릴게임환전 릴게임보물섬 신규슬롯사이트 바다이야기 슬롯 릴게임천국 오징어 릴게임 황금성게임설명 릴게임 정보 파라 다이스 오션 신천지릴게임장주소 오락실게임 파라다이스 바다이야기시즌7 모바일황금성 황금성다운 모바일릴게임 바다이야기고래 릴야마토 알라딘온라인릴게임 바다이야기 게임방법 온라인릴게임예시 무료슬롯버프 슬롯게임 무료 오션파라다이스 릴게임 야마토3다운로드게임사이트 온라인게임순위 2018 바다이야기앱 오리지널황금성 바다 슬롯 먹튀 오션파라다이스게임하는법 바다이야기 게임방법 바다신2다운로드 황금성갈갈이 황금성후기 야마토창공 야마토5게임 기 야마토게임공략 법 무료온라인게임 황금성3게임공략법 오리자날 양귀비 프라그마틱 슬롯 사이트 황금성다운로드 온라인릴게임먹튀검증 모바일릴게임접속하기 신천지게임하는방법 릴게임손오공하는법 무료슬롯체험 온라인야마토 바다이야기고래 바다이야기 무료머니 황금성게임공략방법 릴게임 백경 릴게임 오션파라다이스 바다이야기 슬롯 바나나게임 슬롯나라무료 빠칭코 슬롯머신 바다이야기게임공략방법 야마토5게임다운로드 릴게임사이트 온라인오션게임 릴게임무료 카지노릴게임 오션파라다이스 온라인 카카오야마토 용의눈게임 릴게임이란 바다이야기 게임방법 슬롯 게시판 인터넷 바다이야기 해저이야기사이트 모바일야마토5게임 슬롯 릴 게임 온라인식보 오션파라다이스다운로드 야마토동영상 야마토2 pc버전 황금성게임장 놀이터 릴박스 손오공 게임 다운 황금성릴 일본 파칭코 손오공 카카오바다이야기 온라인릴게임먹튀검증 릴114 온라인빠찡고 오션파라다이스3 야마토창공 편집자주혹시 여행으로만 유럽을 경험하셨나요. 매월 연재하는 '숨은유럽찾기'에선 평온한 관광지에선 볼 수 없는 유럽 각국의 숨은 이야기를 찾아 드립니다. 드러난 뉴스의 이면도 들여다봅니다. 때론 불편한 진실이 우리에게 피와 근육이 됩니다.
지난달 22일 영국 런던 이케아 매장에서 직원이 식칼이 배치된 진열장 문을 잠그고 있다. 이곳에선 신분증을 소지한 21세 이상만 식칼을 구입할 수 있다. 런던= 정승임 특파원
“우리는 식칼을 안 팔아요. 대신 건너편 세인즈버리(Sainsbury's)에 가보실래요?”
지난달 2 강남실매물 2일 영국 런던 중심가 빅토리아역 인근 테스코(TESCO) 매장. 한국 이마트에 해당하는 영국 최대 대형마트 체인인 이곳 직원에게 식칼이 어디 있느냐고 물었더니 돌아온 답이다. 마트에서 산 과일을 자를 과도(果刀)가 필요했다. 한국에선 어렵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영국 도심 한복판에서 식칼을 사는 일은 ‘하늘의 별 따기’에 가까웠다. 앞서 들른 식료품점 리 농협생활비대출 들(LIDL)과 막스앤스펜서(M&S)에서 줄줄이 “식칼을 취급하지 않는다”는 말을 들어서다. 그렇게 마트를 돌아다니길 2시간째. 그래도 이번엔 어디에서 구할 수 있는지 ‘대안’을 제시해줬다.
그가 알려준 세인즈버리는 테스코에 이어 영국에서 두 번째로 큰 마트 체인이다. 그러나 이번에도 허탕인 듯했다. 매장을 샅샅이 뒤져 발견한 건 양식을 농협 정기예금 먹을 때 포크와 함께 쓰는 나이프뿐. 도마는 있었지만 정작 식칼은 보이지 않았다. 매장 직원인 나오미는 “아르고스(Argos)를 시도해 보라”고 권했다.
세인즈버리 계열사로 소매 유통체인점인 아르고스는 매장 한편에 설치된 모니터에서 고객이 상품을 보고 주문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대형 가전제품처럼 공간 문제로 매장에 전시할 수 없 개인급전 는 상품 등이 대상이다. 식칼도 그런 제품으로 분류된다. 온라인 주문과 유사하게 모니터에서 제품을 고르고 결제한 뒤 직원에게 영수증을 보여주면 수령하는 방식인데 식칼만은 예외다. 결제 전 직원에게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을 보여준 뒤 ‘사전허가’를 받아야 주문 자격이 생긴다. 나오미는 그 이유에 대해 “식칼은 매우 위험(dangerous)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거치기간 상환기간 .
그가 안내해준 대로 모니터에 ‘칼’(Knife)을 검색했더니 64개 제품이 나왔다. 그러나 당장 살 수 있는 건 없었다. 매장에서 바로 수령 가능한 제품 대부분은 식칼 4, 5개로 구성된 세트였기 때문이다. 낱개 상품은 집 배송만 가능했다.
대부분 마트에선 식칼 취급 안 해
지난달 22일 영국 런던의 한 마트에 설치된 주문형 모니터. 영국 마트에선 식칼을 아예 팔지 않거나 진열이 제한돼 있어 식칼을 구입하려면 온라인 모니터를 이용해야 한다. 신분증 지참은 필수다. 런던=정승임 특파원
주방용품 전문점은 어떨까. 런던 유명 쇼핑가 옥스퍼드 거리에 위치한 이케아(IKEA) 매장에서 마침내 식칼을 찾았다. 다만 바로 살 수 있는 건 아니었다. 식칼이 전시된 유리 진열장이 굳게 잠겨 있어서다. 그 앞에는 ‘21세 미만은 구매 불가’라는 안내문이 붙어 있었다.
직원이 문을 열어준 후에도 문제는 남았다. 여권을 챙겨오지 않은 게 화근이었다. 21세가 넘었다는 걸 증명해줄 수단은 여권뿐. 맥주 등 주류는 신분증이 없어도 외모로 미성년자가 아니라는 게 가늠이 되면 구매할 수 있지만 식칼은 예외를 허용하지 않았다. “내가 미성년자로 보이느냐”는 기자의 거듭된 질문에도 매장 직원은 “미안하다”는 말만 반복했다.
영국 런던 이케아 매장 식칼 진열대가 굳게 잠겨 있다(왼쪽 사진). 오른쪽 사진은 신분증을 소지한 21세 이상만 식칼을 구매할 수 있다는 문구. 런던= 정승임 특파원
총기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영국에서 식칼 판매가 엄격히 제한된 건 2019년 '공격성 무기법(Offensive Weapons Act 2019)'이 제정되면서다. 1988년 형사법 제도를 대폭 정비한 '형사사법 개정법(Criminal Justice Act 1988)'이 시행되면서 △18세 미만에 칼 판매 금지 △공공장소 칼 소지 금지가 일찍 시행됐지만 2016년부터 칼부림 범죄가 급증해 추가 조치가 시급했던 것이다. 2013~2014년(2013년 4월~2014년 3월)만 해도 영국(스코틀랜드∙북아일랜드 제외)에서 2만6,501건에 불과했던 칼 관련 범죄(살인∙상해∙위협 등 포함)는 2016~2017년 3만7,610건으로 급증했고, 급기야 2019~2020년에 정점(5만1,982건)을 찍었다. 2012~2013년 기준 대비 무려 85%나 증가한 수치다.
특히 2019년 발생한 ‘조디 체즈니(Jodie Chesney) 사건’은 영국 정부가 칼 관련 범죄에 적극 개입하는 계기가 됐다. 17세 여고생 체즈니가 런던 외곽 공원에서 17세와 19세 갱단 조직원으로부터 칼에 찔려 숨진 사건에 국민적 분노가 들끓은 것이다. “칼 소지 및 판매 규제를 강화하자”는 요구가 빗발쳤고 정치권도 이에 부응했다.
당시 영국 사회의 기본 인식은 “칼을 쉽게 구할 수 있게 해선 안 된다”는 것이었다. 칼 관련 범죄가 증가한 데는 갱단 폭력과 불법 마약 유통 증가, 인종 문제 등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지만 이를 막기 위해선 원천봉쇄에 가까운 조치를 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다.
2019년 '조디 체즈니 사건' 이후 정부 적극 개입
2019년 칼부림 사건으로 사망한 조디 체즈니를 추모하는 벤치가 영국 런던 외곽 공립학교에 설치돼 있다. 런던= 정승임 특파원
이에 식칼을 비롯한 도검류의 온오프라인 규제가 강화됐는데 △판매자는 연령 확인 시스템을 필수 도입해야 하고 △온라인 배송 시에도 대면 수령이 의무화됐다. 2021년에는 대형마트를 대상으로 자율 규제를 시행했다. 상당수 유통업체는 실물 대신 모형 칼을 전시하는 방식을 택했는데 일부 업체는 아예 판매를 중단했다. 테스코가 식칼을 취급하지 않은 것도 이때부터다.
그러나 이 같은 조치는 같은 유럽 내에서도 낯설다. 프랑스, 독일만 해도 한국처럼 마트 내 식칼 구입이 자유롭기 때문이다. 특히 독일 2위 슈퍼마켓 레베(REWE)는 현재 포인트를 일정 수준 이상 적립하면 빌레로이앤보흐(Vivo) 브랜드 식칼을 단 1유로(약 1,600원)에 구매할 수 있는 판촉 행사를 진행 중이다. 이에 영국이 총기도 아닌 생필품 구매까지 제한하는 것을 두고 유난스럽다는 반응이 나올 법도 하다. 그만큼 칼 관련 범죄가 심각한 것일까.
독일 베를린 소재 한 마트에서 식칼을 1유로에 판매하는 판촉행사를 하고 있다. 마트 내 식칼 판매를 엄격히 규제하는 영국과 달리 독일은 식칼 판매가 자유롭다. 베를린= 정승임 특파원
현지 범죄학자들의 진단은 달랐다. 그레이엄 패럴 리즈대 법학부(범죄과학 전공) 교수는 한국일보에 “오히려 영국이 칼 범죄 예방 선도 국가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칼 범죄에 집중하는 국가들은 이미 총기 통제가 잘된 나라들”이라며 “미국에선 총기 살인이 워낙 심각해 칼 범죄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못 받는다”고 강조했다. 다시 말해 영국에선 총기 규제가 성공해 칼 관련 범죄도 챙길 여력이 있다는 것이다. 물론 정부 의지도 중요하게 작용했다. 실제 영국은 1996년 스코틀랜드 던블레인의 한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총기 난사로 17명이 숨진 이후 총기 소지를 전면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총기 규제가 가장 엄격한 국가로 꼽힌다.
도시 치안전문가인 벤 브래드포드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보안 및 범죄과학학과 교수도 “영국의 살인율은 10만 명당 약 1건(1.0)으로 매우 낮은 편(미국은 약 6.0)이라 일부 살인사건에 대한 집중도가 상대적으로 커진다”며 “칼 관련 범죄가 증가한 건 최근 10년간 경찰 기록 방식이 개선된 영향도 있다”고 밝혔다. 영국은 살인뿐 아니라 살인 미수, 심지어 칼로 위협한 사건까지도 모두 통계에 반영하는데 독일, 프랑스는 이렇게 정교하게 관리하지 않는다. 브래드포드 교수는 이어 “칼 범죄에 엄격 대응하는 건 총기 규제처럼 사회 전반적으로 강력 대응이 익숙하기 때문"이라며 정부 의지 문제라고 강조했다.
마트 진열된 '식칼' 포장 뜯고 범행한 김성진
서울 강북구 미아동 마트에서 흉기를 휘둘러 1명을 살해하고 1명을 다치게 한 김성진이 지난달 1일 서울 강북경찰서에서 검찰로 구속 송치되고 있다. 뉴스1
실제 최근 칼부림 범죄로 몸살을 앓는 곳은 오히려 프랑스와 독일이다. 프랑스 정부는 올 6월 14세 학생이 학교에서 교육 보조원을 칼로 찔러 사망케 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15세 이하 청소년 온오프라인 칼 판매 금지 △신분증 확인 의무화 조치를 긴급 명령을 통해 즉시 시행했다. 영국이 이미 6년 전부터 시행해온 것들이다. 독일 역시 같은 달 베를린에서 40대 남성이 슈퍼마켓에서 구입한 식칼로 행인을 찌르는 등 칼부림 범죄가 기승을 부리자 불심검문을 강화했다.
한국도 안전지대가 아니다. 올 4월 서울 미아역 인근 마트에서 김성진이 만취 상태로 흉기를 휘둘러 1명이 숨진 사건은 큰 충격을 안겼다. 그가 쓴 흉기는 마트에 진열된 식칼이었다. 올 2월 대전 초등생을 살해한 명재완 역시 사건 직전 마트에서 식칼을 구입했다.
"식칼 규제는 정부 의지 문제...철회 없을 것"
벤 브래드포드(왼쪽)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보안 및 범죄과학학과 교수와 그레이엄 패럴 리즈대 법학부(범죄과학 전공) 교수. 각 대학 홈페이지
관건은 ‘식칼 판매 제한’의 실효성이다. 범행을 마음먹었다면 집에 있는 흉기도 얼마든지 쓸 수 있는 만큼 한계도 뚜렷해 보인다. 다만 전문가들은 효과를 따지긴 이르다는 입장이다. 정책 시행 후 코로나19가 터지면서 아직 그 효과를 정확히 가려내기 어려워서다. 통계만 보면 2019~2020년 정점을 찍었던 칼 관련 범죄는 1년 뒤 1만 건 넘게 감소했지만 그 이후 매년 증가해 최근 5만511건까지 올랐다. 다만 패럴 교수는 “칼부림으로 인한 살인은 오히려 팬데믹 이전보다 감소했다”고 강조했다. 칼 범죄 통계는 단순 위협도 포함하기에 사건의 심각성 정도도 따져야 한다는 이야기다.
그래픽=이지원 기자
정책 효과 여부와 별개로 식칼 판매 규제가 풀릴 가능성은 없어 보였다. 브래드포드 교수는 “규제 완화 이후, 누군가 매장에서 구입한 칼로 살인을 저질렀다면 정부가 그 책임을 지게 되기 때문”이라며 “오히려 영국 대중은 불편함을 느끼기보다 규제를 더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최근에는 뾰족한 칼 끝을 둥글게 만들자는 제안까지 나왔다. 패럴 교수가 대표적이다. 그는 “식칼이 범죄에 가장 많이 쓰이는 만큼 뾰족한 식칼을 단계적으로 금지하고 가정 내 식칼 오용과 도난을 막기 위한 추가 조치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런던= 정승임 특파원 choni@hankookilbo.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