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약국의 비전은 모든 고객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 것 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간재아상 작성일25-11-25 11:27 조회0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37.cia565.net
0회 연결
-
http://29.cia565.com
0회 연결
본문
바로가기 go !! 바로가기 go !!
1. 비전과 미션
하나약국의 비전은 모든 고객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 것 입니다.
이를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의료 정보 제공, 맞춤형 상담 서비스, 품질 높은 의약품 제공"이라는 3대 미션을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2. 주요 서비스
1) 약품 판매 및 전문 상담
하나약국은 처방전 조제 및 일반 의약품 판매뿐만 아니라, 약사와의 1:1 맞춤형 상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각 약사는 고객의 건강 상태, 기존 복용 약물, 생활 습관 등을 세심하게 분석하여 최적의 치료 방법을 제안합니다.
2) 건강 관리 프로그램
하나약국은 약국 내에서 다양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고객은 혈압 측정, 혈당 검사, 체성분 분석 등 기본 건강 검사를 받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건강 관리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3) 의료 정보 제공
하나약국은 최신 의약품 및 건강 관련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며, 올바른 약물 복용 방법 및 건강 유지 팁에 대한 교육을 제공합니다.
4) 특화된 서비스24시간 운영 약국: 긴급 상황에서 언제든지 약을 구할 수 있도록 24시간 운영하는 지점을 운영합니다.
온라인 예약 서비스: 바쁜 고객을 위해 온라인으로 약 조제 및 건강 상담 예약이 가능합니다.
의약품 배달 서비스: 거동이 불편한 고객을 위해 의약품을 집으로 배송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기자 admin@no1reelsite.com
지난 21일 오후 12시께 양인제과를 찾은 고객들이 '오웬에그타르트'를 구매하고 있다.
광주 남구 양림동이 가진 기독교 역사와 문화를 상품으로 브랜딩한 한 제과점이 눈길을 끈다.
선교사 오웬과 서서평, 시인 김현승의 호(號) 등을 제품명에 담아낸 '양인제과'는 대표 상품인 '오웬에그타르트'를 하루 수차례 완판시키며 지역민과 관광객의 발길을 동시에 끌어모으고 있다.
지난 21일 오전 11시께 찾은 광주 남구 양인제과. 평일임에도 빵을 고르는 손님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릴게임추천 매장 한 켠 진열장 앞에 선 한 중년 여성은 "에그타르트 다 떨어진 거예요?"라고 묻더니, 직원의 대답을 듣자 아쉬운 표정으로 매장을 나섰다. 뒤이어 들어온 남녀 커플은 텅 빈 에그타르트 진열대를 바라보다 다른 빵을 집어 들었다.
이들이 찾는건 '오웬에그타르트'다. 제빵사들이 직접 24겹으로 만든 파이를 두 번 구워 바삭 바다이야기오리지널 한 식감을 살렸다. 프랑스 요리학교 르 꼬르동 블루 출신 지역 셰프가 레시피 연구에 참여해 필링의 계란 비릿맛까지 잡아냈다.
양인제과 직원은 "오전 8시30분에 문을 여는데, 에그타르트는 인기가 많아서 빨리 빠진다"고 설명했다. 직원들은 이 에그타르트를 하루 평균 네 번, 주말에는 많게는 열 번까지 다시 굽는다.
오웬에그 릴박스 타르트 이외에도 양인제과 메뉴판은 '서서평 소금빵', 원두 이름인 '다형'과 '윌슨'까지 모두 양림동에서 활동한 선교사와 시인의 흔적을 담고 있다. 손님들이 "왜 서서평인가요?", "다형은 무슨 뜻이에요"라고 물을 때마다 직원들은 짧은 설명을 더한다. 제품을 고르는 행위가 곧 양림동의 기독교 역사와 문화를 접하는 시간이 된다.
양림동은 1 오션파라다이스게임 904년 유진벨, 오웬 등 서양 선교사들이 모여 교회, 학교, 병원을 개설함으로써 기독교 복음 전파의 터전이 됐다. 미국 버지니아주 출신 오웬은 1898년 한국에 입국해 선교와 의료사업을 하며 병들고 가난한 이들을 위해 일하다 순교했다. 독일계 미국인 간호사 서서평은 해외 선교사에 자원해 1912년 한국에 와 한국 최초의 여성 신학교인 이일성경학교(현 한일 바다이야기디시 장신대학교)를 설립하는 등 평생 선교·의료·교육사업에 헌신했다.
'다형(茶兄)'은 커피 애호가였던 시인 김현승의 호다. 양림동 출신인 그는 서양 선교사들이 가져온 커피 등 식문화를 받아들인 인물로, 현대시의 주춧돌 역할을 했다.
양인제과의 '오웬에그타르트'
손석호 양인제과 대표는 양림동에서 활동한 선교사들의 발자취를 접하며 이들의 이야기를 제품에 담아 알리고 싶었다고 했다. 그는 "2008년 서울 가로수길에서 카페를 운영했던 게 연결돼 육각커피와 양인제과가 됐다"며 "양림동에서 선교사들이 전파한 신문물과 의료, 교육 등 활동을 알게 되면서 깊은 감명을 받았다. 그들이 전파한 것들에 대한 혜택을 우리가 누리고 있다고 느껴 더 많은 사람에게 알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또한 광주를 대표하는 빵이나 과자가 취약하다고 느낀점도 그의 상품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손 대표는 "해외 출장 때마다 공항에 가면 나라별, 지역별 대표 과자가 있는 것을 보며 '왜 우리는 이런게 없을까'라는 생각을 많이 했다"며 "광주를 대표하는 빵집이 있지만, 지역 스토리를 담아 수출할 수 있는 상품이 있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양인제과는 지역과 함께하는 100년 브랜드를 목표로 전국 유통을 준비하고 있다.
손 대표는 "양인제과가 10주년을 앞두고 있는데, 100년 브랜드가 되는 게 목표다. SNS 메세지로 상품 택배를 원하는 고객들이 많아 이를 준비하고 있다"며 "광주신세계의 도움을 받아 올해 7월 ESG 우수 중소기업 인증을 받았고, 백화점에서 팝업도 열게 됐다. 앞으로도 일자리 창출 등 지역에 기여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광주 남구 양림동이 가진 기독교 역사와 문화를 상품으로 브랜딩한 한 제과점이 눈길을 끈다.
선교사 오웬과 서서평, 시인 김현승의 호(號) 등을 제품명에 담아낸 '양인제과'는 대표 상품인 '오웬에그타르트'를 하루 수차례 완판시키며 지역민과 관광객의 발길을 동시에 끌어모으고 있다.
지난 21일 오전 11시께 찾은 광주 남구 양인제과. 평일임에도 빵을 고르는 손님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릴게임추천 매장 한 켠 진열장 앞에 선 한 중년 여성은 "에그타르트 다 떨어진 거예요?"라고 묻더니, 직원의 대답을 듣자 아쉬운 표정으로 매장을 나섰다. 뒤이어 들어온 남녀 커플은 텅 빈 에그타르트 진열대를 바라보다 다른 빵을 집어 들었다.
이들이 찾는건 '오웬에그타르트'다. 제빵사들이 직접 24겹으로 만든 파이를 두 번 구워 바삭 바다이야기오리지널 한 식감을 살렸다. 프랑스 요리학교 르 꼬르동 블루 출신 지역 셰프가 레시피 연구에 참여해 필링의 계란 비릿맛까지 잡아냈다.
양인제과 직원은 "오전 8시30분에 문을 여는데, 에그타르트는 인기가 많아서 빨리 빠진다"고 설명했다. 직원들은 이 에그타르트를 하루 평균 네 번, 주말에는 많게는 열 번까지 다시 굽는다.
오웬에그 릴박스 타르트 이외에도 양인제과 메뉴판은 '서서평 소금빵', 원두 이름인 '다형'과 '윌슨'까지 모두 양림동에서 활동한 선교사와 시인의 흔적을 담고 있다. 손님들이 "왜 서서평인가요?", "다형은 무슨 뜻이에요"라고 물을 때마다 직원들은 짧은 설명을 더한다. 제품을 고르는 행위가 곧 양림동의 기독교 역사와 문화를 접하는 시간이 된다.
양림동은 1 오션파라다이스게임 904년 유진벨, 오웬 등 서양 선교사들이 모여 교회, 학교, 병원을 개설함으로써 기독교 복음 전파의 터전이 됐다. 미국 버지니아주 출신 오웬은 1898년 한국에 입국해 선교와 의료사업을 하며 병들고 가난한 이들을 위해 일하다 순교했다. 독일계 미국인 간호사 서서평은 해외 선교사에 자원해 1912년 한국에 와 한국 최초의 여성 신학교인 이일성경학교(현 한일 바다이야기디시 장신대학교)를 설립하는 등 평생 선교·의료·교육사업에 헌신했다.
'다형(茶兄)'은 커피 애호가였던 시인 김현승의 호다. 양림동 출신인 그는 서양 선교사들이 가져온 커피 등 식문화를 받아들인 인물로, 현대시의 주춧돌 역할을 했다.
양인제과의 '오웬에그타르트'
손석호 양인제과 대표는 양림동에서 활동한 선교사들의 발자취를 접하며 이들의 이야기를 제품에 담아 알리고 싶었다고 했다. 그는 "2008년 서울 가로수길에서 카페를 운영했던 게 연결돼 육각커피와 양인제과가 됐다"며 "양림동에서 선교사들이 전파한 신문물과 의료, 교육 등 활동을 알게 되면서 깊은 감명을 받았다. 그들이 전파한 것들에 대한 혜택을 우리가 누리고 있다고 느껴 더 많은 사람에게 알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또한 광주를 대표하는 빵이나 과자가 취약하다고 느낀점도 그의 상품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손 대표는 "해외 출장 때마다 공항에 가면 나라별, 지역별 대표 과자가 있는 것을 보며 '왜 우리는 이런게 없을까'라는 생각을 많이 했다"며 "광주를 대표하는 빵집이 있지만, 지역 스토리를 담아 수출할 수 있는 상품이 있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양인제과는 지역과 함께하는 100년 브랜드를 목표로 전국 유통을 준비하고 있다.
손 대표는 "양인제과가 10주년을 앞두고 있는데, 100년 브랜드가 되는 게 목표다. SNS 메세지로 상품 택배를 원하는 고객들이 많아 이를 준비하고 있다"며 "광주신세계의 도움을 받아 올해 7월 ESG 우수 중소기업 인증을 받았고, 백화점에서 팝업도 열게 됐다. 앞으로도 일자리 창출 등 지역에 기여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