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초전도학회 ▒▒

학회지검색

 

관련정보
   초전도용어집
   초전도이야기
   초전도자료사이트
   추천사이트
   학회 및 전시회 안내



▶▶ 초전도이야기


*SQUID의 종류와 측정원리
초전도체는 특정온도 이하에서 저항이 0이 되는 물질로, Cooper pair라 불리는 전자쌍에 의해 초전도전류가 흐른다. 저항이 0인 초전도상태를 유지하면서 흘릴 수 있는 최대 전류를 임계전류(Ic)라 부르며, 물질의 종류, 온도, 자장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만일 두 개의 초전도체를 매우 얇은 절연막으로 결합시키면, 양자현상 때문에 초전도전자쌍들이 절연막을 관통할 수 있어 초전도전류가 흐른다. 이 현상을 조셉슨효과라 하며, 이러한 결합형태를 조셉슨접합이라 한다.

초전도체의 또 다른 자기적 특성은 초전도체로 만들어진 고리모양의 루프에 자장을 가하면, 루프 안으로 들어가는 자속은 자속양자(Φ =h/2e=2.07×10-15 T-m2)의 정수배만 허용된다. 이 현상을 자속의 양자화라 부른다. 자속양자 Φ 는 직경이 약 7 ㎛인 적혈구내에 들어가 있는 지자장에 해당하는 정도로 매우 작은 양이다.

SQUID는 초전도체만이 지닌 조셉슨효과와 자속의 양자화 현상을 결합하여 외부 자속의 변화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일종의 transducer로, 한 개의 초전도 루프에 한 개 또는 두 개의 조셉슨접합을 끼워 결합한 자기센서이다. 초전도루프에 한 개의 조셉슨접합을 삽입하여 결합한 것을 RF SQUID, 두 개의 조셉슨접합을 삽입하여 결합한 것을 DC SQUID라 부른다. RF SQUID는 높은 주파수의 교류전류로 작동하며, DC SQUID는 직류전류로 작동한다. 그림1에 DC SQUID와 RF SQUID의 모양과 bias전류회로가 나타나 있다.



그림1. SQUID의 종류와 bias회로(×:조셉슨접합, 〓:전기용량, ○:초전도 루프).


그림2. DC SQUID의 자속-전압 변환원리.
DC SQUID의 자장감지 원리는 그림1의 (a)와 같이 SQUID회로에 bias전류 Ib를 흘리면 2개의 조셉슨접합을 초전도 전자쌍들이 관통하여 전류가 각각 1/2 Ib 씩 흐른다. 여기에 자장을 가하면 양단 조셉슨접합의 양자역학적 위상이 변하게 되고, 이 위상의 변화 때문에 SQUID의 임계전류가 바뀌게 된다. Bias전류를 SQUID의 임계전류 이상으로 가하면 저항이 있는 상태로 전이하여 전압이 발생하는 데, 임계전류값은 그림2의 (a)와 같이 외부자속의 값이 자속양자의 정수배일 때 최대값을, 1/2배 일 때 최소값을 보인다.

만일 Ib를 적당한 값에 고정하고 외부자속를 서서히 증가하거나 감소시키면 SQUID 양단의 전압은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를 주기적으로 변하여 그림2의 (b)와 같이 나타난다. 즉, 외부의 자속변화(△Φ)에 대해 SQUID는 전압의 변화(△V)를 보이는 것이다.

SQUID는 외부자속에 대해 sine곡선과 유사한 비선형적인 전압을 출력하므로,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비선형적인 전압을 직선화 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그림3과 같이 FLL(Flux-locked loop)이라는 회로를 이용한다.


그림3. DC SQUID의 FLL회로와 측정장치
FLL회로는 그림3과 같이 SQUID신호 증폭회로, 적분기, feed back회로 및 코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 자속의 변화양을 전압으로 나타내준다. 원리는 그림2 (b)의 V-Φ특성 곡선의 최대기울기 지점에 SQUID출력을 0 으로 고정시킨다. 외부 자속이 감지되어 SQUID에서 전압이 변하면, 이 전압변화를 증폭 및 적분하여 SQUID와 결합되어 있는 feedback코일 Lf를 통해 외부자속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자속을 가하여 고정점을 유지하도록 한다. 외부 자속변화 때문에 고정점을 유지하도록 가해준 이 전류값은 Rf에서 전압 V 로 나타나므로 외부 자속의 크기를 알 수 있다.(그림3에서 Lp와 Li는 자장을 감지하는 pick-up코일과 이를 증폭하여 SQUID에 전달하는 input코일을 나타낸다.)

만일 외부 자속의 변화가 너무 급격하면 SQUID회로는 lock를 놓칠 수 있다. SQUID가 lock을 유지하면서 단위 시간 당 자속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능력을 slew rate이라 하며 보통 105∼ 106 Φ /sec 이다.

RF SQUID는 그림1의 (b)와 같이 조셉슨접합에 내포된 R-C회로에 탱크회로라 불리는 외부의 R-L-C공진기 회로에서 교류전류를 가하고 자장을 변화시키면 공진기의 유효 임피던스가 자속의 변화에 대해 공진기의 전압이 변하는 원리로 자장을 측정한다. DC SQUID에 비해 I-V특성 및 V-Φ특성이 복잡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자속변화 감지 능력을 나타내는 SQUID의 감도는 1초 동안 측정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자속의 변화에 해당하는 에너지로 나타낸다. 현재의 기술로 제작되고 있는 저온초전도 SQUID의 경우 약 10-32 J의 감도를 가지고 있는 데, 역학적 에너지로 환산하면 지구 중력하에서 9.1×10-28g의 전자를 1mm 들어올리는 정도의 아주 미약한 에너지의 변화이다. 이 값은 물리학에서 측정의 한계를 나타내는 플랑크 상수 h에 근접하는 정도로 작은 값이다.

모든 SQUID는 임계전류의 변화, 자속의 구속, 열요동 등으로 자체 자기잡음을 지니고 있는데, 이 보다 큰 자기신호만 측정이 가능하다. SQUID의 잡음은 3가지 방법으로 표현하는 데, 잡음에너지(ε), 자속잡음(Sψ½), 자장잡음(BN)이다. 상용화되어 있는 SQUID의 잡음수준은 ε=10-31 J/Hz, Sψ½,∼10-6 Φ /√Hz, BN=10 fT/√Hz 이다.

Magnetometer와 Gradiometer

실제 자속측정 회로에서는 SQUID로 직접 자장을 측정하지 않고, SQUID의 감도를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그림4와 같이 자속변환장치(Flux Transformer)를 사용한다. 자속변환장치는 자속을 감지하는 pick-up코일과 이를 SQUID에 증폭시켜 입력해주는 input코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초전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Pick-up코일은 많은 자속을 감지하기 위하여 넓은 면적을 지니고 있으며, input코일은 SQUID에 집속시키기 위하여 SQUID와 비슷한 면적을 지니고 있고 증폭시키기 위하여 여러 번 감겨져 있다.

Magnetometer는 그림4의 (a)처럼 하나의 pick-up코일로 되어 있어 감지된 자속(Bz)을 input코일의 감은 수만큼 증폭하여 SQUID로 전달한다. 따라서 magnetometer는 외부 자기잡음을 막을 수 있는 자기차폐실내에서 뇌 등에서 나오는 미약한 신호를 측정하는 데 사용한다.

Gradiometer는 (b)처럼 두 개의 pick-up코일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겨있어 균일한 자장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지만, 기울기가 다른 자속에 대해서는 두 코일에 걸린 차이만큼이 input코일에 전달되어 SQUID에서 측정된다. 자동차, 엘리베이터 등 자기잡음원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gradiometer의 pick-up코일 근처에서는 잡음의 기울기가 거의 같으므로 외부잡음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차폐실 없이 야외에서 측정할 수 있는 비파괴평가 등에 이용한다.

 
그림 4. 여러 형태의 flux transformer
많은 경우 SQUID가 박막형태로 사용되므로 dBz/dx 혹은 dBz/dy의 변화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c)와 같은 planar gradiometer가 많이 쓰인다. 고온초전도 SQUID의 경우, 다른 형태의 gradiometer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데, 2조의 magnetometer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두 지점에서 자장을 동시에 측정하여 그 차이를 구하는 방식의 electronic gradiometer도 사용되고 있다. 위에 설명한 SQUID부분의 주요 구성 요소는 개발자에 따라 용어를 다르게 부르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pick-up코일, input코일, SQUID로 구분하여 부르는 데, 많은 경우 이들을 통칭하여 SQUID센서라 부른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
맨 위로
Copyright 한국초전도학회 All rights reserved.
사단법인 한국초전도학회 314-82-05875
대표자 : 김찬중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267 203-201(도룡동, 한국표준과학연구원)

Tel:(042)868-5184 / Fax : (042)868-5475 / E-mail:kss.super1998@gmail.com